주식 관련된 커뮤니티들 보면 정말 많은 사람들이 레버리지 특히 TQQQ나 SOXL을 겁없이 맹목적으로 나스닥은 신이야! 미국주식은 역사적으로 항상 우상향했어!

언젠간 빛을 볼거야라고 매수를 많이하는데 그러다가 골로 갈수가 있다.

이러한 종목들의 몰빵 투자는 마치 로또에 당첨되는거와 같다고 본다.

 

이것쯤은 알고 샀으면 하는 마음에 표로 정리를 한번 해보았다.

종목 투자금액 하락율 하락반영금액 나스닥(1만기준) 상승률 상승반영금액 나스닥(1만기준)
qqq 1억 -10% 9천만 나스닥 9000 14% 102,870,000 나스닥 11260
tqqq 1억 -30% 7천만   43% 100,030,000  
               
qqq 1억 -20% 8천만 나스닥 8000 50% 120,000,000 나스닥 12000
tqqq 1억 -60% 4천만   150% 100,000,000  
               
qqq 1억 -30% 7천만 나스닥 7000 300% 280,000,000 나스닥 28000
tqqq 1억 -90% 1천만   900% 100,000,000  

 

평범한 장이라면 나스닥이 고점에서 -10%~-20% 정도는 얼마든지 갈 수 있다

 

나스닥이 10%가 빠지면 TQQQ는 30%가 빠지니 본전이 되려면 43%가 올라야한다. 그러면 직전 고점 나스닥이 1만이였다면 11260까지 올라줘야한다.

 

다음 상황을 봐보자.

 

표에 보이느데로 나스닥이 20% 빠지면 TQQQ가 회복하려면 150%가 올라야하고 나스닥은 12000이 되야한다.

 

30%하락은 끔찍하다. 나스닥이 28000은되야 TQQQ는 본전이 된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분들도 있다. '나는 떨어질때마다 적립식으로 매수하기 때문에 TQQQ를 구매한다.' 

 

3가지 상황을 만들어볼까한다.

 

1. 1억을 투자했고 5000만원을 현금보유중이였는데 나스닥 -20%지점에서 모두 물타기를 했을 경우 그 후 바로 상승

(QQQ는 20%하락으로 8천만원 남았는데 보유 현금 모두 투자로 1.3억으로 시작

TQQQ는 60%하락으로 4천만원 남았는데 보유 현금 모두 투자로 9천만으로 시작)

 

2. 1억을 투자했고 5000만원을 현금보유중이였는데 나스닥 -20%지점에서 모두 물타기 했으나 10% 추가 하락하고 상승

(QQQ는 20%하락으로 8천만원 남았는데 보유 현금 모두 투자로 1.3억으로 시작

TQQQ는 60%하락으로 4천만원 남았는데 보유 현금 모두 투자로 9천만으로 시작)

 

3. 1억을 투자했고 5000만원을 혐금보유중이였는데 나스닥 -30%지점에서 모두 물타기를 했을 경우 그 후 바로 상승

(QQQ는 30%하락으로 7천만원 남았는데 보유 현금 모두 투자로 1.2억으로 시작

TQQQ는 90%하락으로 1천만원 남았는데 보유 현금 모두 투자로 6천만으로 시작)

종목 투자금액 하락율 하락반영금액 나스닥(1만기준) 상승률 상승반영금액 나스닥(1만기준)
qqq 1.3억     나스닥 8000 22% 158,600,000 나스닥 9760
tqqq 9천만       66% 149,400,000  
               
qqq 1.3억 -10% 117,000,000 나스닥 7200 46% 170,820,000 나스닥 10512
tqqq 9천만 -30% 63,000,000   138% 149,940,000  
               
qqq 1.2억     나스닥 7000 50% 180,000,000 나스닥 10500
tqqq 6천만       150% 150,000,000  

 

현금을 많이 남겨 놓는분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거의 미수금 제로로 투자를 했거나 현금이 2~30%정도 밖에 남지 않았을거라고 보고 5천만원이 남아있다고 계산을 해봤는데

이 경우 어떠한 상황에서도 TQQQ가 본전이 될때까지 1배짜리인 QQQ를 TQQQ가 넘어서진 못했다. 물론 상승기일때는 반대 상황일수도 있겠지만..

 

계산하기 편하게 V자 반등으로 계산을 했지만 실제는 파동을 치면서 내렸다 올랐다 하기 때문에 실제 성적은 표로 정리한것보다 안좋게 나올것이다. 

 

나 또한 부자가 되고 싶기 때문에 3배짜리에 몰빵하는 마음을 충분히 이해를 한다. 3배짜리로 성공하는 분들도 분명 있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로또와 같은 확률이라고 본다.

 

미국주식이 초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금리인상, 전쟁, 코로나, 경기침체 등 개개인들이 예상할 수 없는 상황들이 발생하는데 개인들은 즉각 대응할 수 없다.

 

10여년넘게 미국주식이 쭉 우상향했지만 앞으로 곧 바로 당장 그럴거라는 보장은 없다. 실제로 박스권인 시절도 꽤 길었고...

 

레버리지 투자는 조심 또 조심히 투자하여야한다. 실제 나도 지금 레버리지 인버스를 투자하고 있지만 일정비율로 헷지성으로 투자 하고 있는것이다.

 

모두 안전하게 투자하고 다같이 부자가 되었으면 한다.

 

아직은 찬바람이 불다고 표현하기엔 더운 날씨지만 새벽이면 제법 쌀쌀기운이 도는 계절이다.

 

주식 격언중에 '찬바람 불때 배당주를 사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주식은 대부분이 연말배당을 하기 때문이다.

찬바람이 불때 즉 4분기쯤 배당투자를 해라 라고 볼 수 있다.

 

큰 수익을 위해서라면 많이 떨어진 좋은 낙폭과대주에 투자하는것이 가장 좋겠지만

다시올 상승기에 어떤 섹터가, 어떤 개별주식이 주도주로 떠오를지 예상하는것이 어렵고 그럴만한 능력도 없고 하니

조금 보수적으로 배당주에 투자하는것도 지금 같은 상황에서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어떤 배당주를 사야할까??

 

미래성장도 있고 가격도 많이 착해진 주식들이 좋을거라고 생각하고 그러한 주식들을 선별하고 싶지만

 

오늘은 큰 하락폭이 있었던 9.26일과 9.28일

주가의 큰 낙폭속에 그나마 잘 방어를 잘해준 종목들 중에서 알아보려고 한다.

 

22.9.26 국내 증시 코스피가 3%하락하고 코스닥이 5%를 하락하면서 역대급 하락이 나타났다.

지금 글을 작성하는 22.9.28 14:30분에도 코스피가 3.23% 코스닥이 4.22%하락하고 있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과 네이버 종목분석을 참고하여 나열해볼까 한다.

 

몇가지 조건을 덧붙이자면

1. 22.9.26, 22.9.28에 상승하거나 하락(-2%까지) 종목중에 배당 3~7%

2.시가총액 3,000억 이상

3.금융,증권,보험주 제외

4. 거래량등을 포함한 지표

 

4가지 조건에 부합하는 종목들을 추려보았다.

 

22.9.26기준

종목(배당률)

효성(8.74%), SK텔레콤(6.5%), KT(5.87%), KT&G(5.66%),  LG유플러스(5.66%), 제일기획(4.75%), 에스원(4.56%), LG(3.98%),  롯데지주(3.84%), 한온시스템(3.65%), 휠라홀딩스(3.18%)

 

22.9.28기준

종목(배당률)

효성(8.92%), 한국자산신탁(7.41%), POSCO홀딩스(6.92% 분기배당함), KT&G(5.66%), 스카이라이프(5.40%), 제일기획(4.84%), 에스원(4.53%), 코리안리(4.42%), 이노션(4.40%), 한전KPS(3.76%), 빙그레(3.75%), 아이에스동서(3.69%), 대상(3.52%), 씨젠(3.14%)

 

겹치는 종목은 효성, KT&G, 제일기획, 에스원

 

효성은 지주회사이고 연초대비 26%정도 하락한 상태이다

 

KT&G는 담배회사이고 연초대비 13%정도 상승한 상태이다

 

제일기획은 광고회사이고 연초대비 10%정도 상승한 상태이다

 

에스원은 경비 및 보안 업체이고 연초대비 22%정도 하락한 상태이다

 

각 종목당 최근 리포트를 보자면

 

효성 - 고배당주 매력적

▷올해 2분기 주요 자회사들로부터 지분법 손익 감소로 부진한 실적 기록

▷고배당 기조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주가의 하방 경직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듯

▷수소사업 벨류체인 확대로 성장성 가시화 될 듯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로 기업들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등이 확대되는 시기에는 동사와 같이 고배당주 매력적

 

KT&G - 3Q22Pre:시장 기대 부합 예쌍

▷3Q22 Pre:국내외 본업 호조

▷내년에도 본업 견조 전망

▷단기로는 고환율 대안

 

제일기획 - 비수기 실적 맞나요

▷계절성이 없는 호실적

▷무궁무진한 사업 영역 확장

 

에스원 - 성장전략이 필요한 시기

▷올해 2분기 매출증가에도 불구하고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한 판관비 증가로 수익성 하락

▷지난해 일회성 비용 기저 효과 등으로 올해 전년대비 실적 향상 가능할 듯

▷스마트 건물관리 솔루션으로 건물관리 서비스 측면에서 오프라인 내 보안 사업 영역으로 확대하면서 성장성 가시와 될 듯

▷비용수준이 높아진 상황이므로 보다 큰 성장전략이 필요한 시기

 

리포트 어조만 보자면 제일기획 > 효성 > KT&G > 에스원 순으로 매력이 있어보인다.

 

나만의 기준으로 배당주를 알아봤는데 뭐가 정답인지는 알 수 없지만 나를 포함해 모두가 부자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트렌드에 편승하는 세가지방법

(요즘 트렌드? 메타버스, 전기차)

 

▽곡괭이와 삽 전략

 

골드러시 기간에 금을 캐려던 사람들은 대부분 돈을 잃었지만 이들에게 곡괭이, 삽, 텐트, 청바지를 팔았던 사람들은 이익을 냈다.

 

1. 메타버스

 

메타버스가 요즘에 시들하지만 다시한번 상승이 올것이라고 생각한다. 메타버스가 메가트렌드가 되면 곡괭이 삽같은 종목이 뭐가 될까?

 

메타버스가 구축되려면 필요한 섹터는 AI, 반도체, OLED, 음성인식 등이 필요해 보인다.

 

다 중요하지만 실제와 같은 공간을 구축하기 위해선 현실과 가상을 이어주는 눈으로 보는 기기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영화 레디 플레이어원에서 나온 각종 장비를 착용하고 게임하는 장면처럼

 

영화 레디 플레이어원을 보면 주인공이 고글을 통해 가상세계에서 활동하는 모습이 나온다.

 

겉으로 보기엔 우스꽝스러워 보일수도 있지만 가상세계에서 열심히 싸우는 모습이다.

 

가상세계와 연결하는 다른 방법이 나올지도 모르지만(시신경을 기계와 직접연결한다든지) 지금 가장 유력한 기기는 애플의 xr글라스가와 메타(전 페이스북)의 기기가 아닌가 싶다.

 

여기서 곡괭이와 삽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FPCB 업체인거 같다.

 

메타의 오큘러스 퀘스트2를 살펴보자면 프로세서는 퀄컴을 사용하고 있고 PCB는 뉴프렉스 디스플레이는 전작인 오큘러스 퀘스트1에서는 OLED를 채택했으나 2에서는 LCD로 출시하였다. LCD로 전환한 이유는 '가성비'라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백라이트가 필요한 LCD 패널은 OLED 패널에 비해 색 표현력이 떨어지기는 하나, 저렴한 원가로 더 많은 픽셀을 구현해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VR기기에서는 아직 LCD를 주로 사용하지만 그 이외 스마트폰, TV는 거의 OLED를 사용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VR기기도 점차 OLED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개인적으로 OLED업체 중 덕산네오룩스, 이녹스첨단소재을 좋아한다.

 

2. 전기차

 

전기차 관련섹터가 몇년째 인기이다.

대장주인 테슬라는 22.9월 기준 애플보다도 방어를 잘하고 있고(인플레감축법안의 수혜이긴하지만) 국내 자동차 대장주 현대, 기아도 주가흐름이 좋다.

 

전기차 전의 자동차는 가치주로 분류가 됐지만 전기차로 변화가 되면서 성장주로 변모하였다.

 

현재 전기차의 보급률은 10%밖에 안되고 점차 보급율이 올라갈텐데 1등 기업인 테슬라가 이 시장을 지배할 확률이 높다. 현대기아가 잘해주고 있긴하지만 미국의 포드자 GM도 잘하고 있고 중국 자국내 내수로 전세계 판매량 2위를 찍은 BYD도 무시할 수 없다.

 

테슬라와 현대, 기아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곡괭이와 삽 전략에 해당하는 섹터는 어떤것일까?

 

전기차하면 필요한것은 가장 중요한 2차전지, 타이어, 공조장치, FPCB, 자율주행을 위한 카메라모듈, 또 2차전지를 재활용하는 폐배터리 사업까지 전기차로 인한 섹터는 무수히 많다.

 

관련 섹터들이 모두 유망해서 무엇에 투자해야할지 고민이 되는데 아직 별로 오르지 않은 공조장치 기업 한온시스템을 주의깊게 보고있다.

'주식 > 잡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버리지 투자할때 조심해야하는 이유  (1) 2022.10.03
찬바람 불때면 배당주 투자?  (0) 2022.09.28

+ Recent posts